어릴 적에 내 시간의 동무가 되어 준 것들은 주로 놀이였다.
대표적인 것이 구슬치기-당시에는 다마치기라고 불렀지만-와 딱지치기였고 계절에 따라 땅따먹기 혹은 자치기, 운좋게 공을 얻는 날에는 축구라고하기엔 좀 미안한 공차기 수준의 놀이를 하곤 했다.
다마치기는 거의 고수의 수준이어서 한 때는 구슬을 아빠의 와이셔츠 각에 두 개를 다 채우고도 남아서 아빠 몰래 땅에 파묻어서 감추곤 하였다.
시간이 남아 돈다거나 모자란다거나 하는 것을 잘 모르던 시절이어서 학교를 파하면 바로 친구를 불러내 시간을 쪼개가며(?) 놀았고 쪼개고 또 쪼개도 남는 시간이 있으면-사실 그런 날은 별로 없었지만-어린이 잡지를 탐독했다.
“어깨 동무”,”소년 중앙”,”새 소년”등이 주로 그 시간에 나와 함께 있었는데 자주 기획 기사로 미래의 모습을 소개한 것이 아직도 기억에 난다.
주로 타임머신을 타보고 가는 21세기라든지, 우리가 어른이 되면 어떻게 바뀌는가라는 식의 글들이었는데 생각해보면 아직도 실현이 안 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 다음으로 자주 등장하는 글들은 아주 먼 공룡시대의 공룡들의 생활이거나 또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 엿보기 등 과거의 모습을 그럴듯한 그림과 더불어 설명해 놓아 어린 우리들의 머릿속에는 잡기 기자들의 멋진 설명이 고리따분하게 설명되어 있는 교과서보다 더 뚜렷하게 박히곤 했다.
어쨋던 지금 생각해 봐도 그 때 그 시간들은 참 다양하게 존재했던 것 같다.
별로 그려진 것이 없는 하얀 도화지 위에 아무거나 덥석 덥석 물어서 색칠해 놓았던 그 때의 그 시간들은 지금도 뚜렷하게 기억되고 있으니 말이다.
당시에는 현재라는 시간을 꽤나 바쁘게 산 반면 미래에 대해서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고 과거에 대해서는 아무런 취사 선택없이 맹목적으로 받아 들이던 그런 시대였다.
지금 시간 여행을 통해 그 시절을 가보는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다.
지금의 나는 현재의 시간을 잘게 쪼개가며 살고 있는가?
미래에 대해서 아직 희망을 가지고 있는가?
10년 만에 실제로 고향(한국이다)에 다녀 왔다는 이민 선배 분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얼마나 많이 변했는지 정신이 하나도 었었다고 하는 그 선배는 ‘이젠 캘거리가 편하고 진짜 고향이 된 거 같애’라며 더 이상 한국에 다며오는 것에 대한 미련을 버리셨음을 암시하셨다.
그러면서 60이 넘으신 연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열심히 사시는 모습에서 그 분에겐 이제 더 이상의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필요없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까지도 현재의 시간을 잘게 쪼개며 살고 있는 그 분의 모습이 나에겐 아름답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미래가 현재의 바로 앞부분들의 무한수열-헉,이렇게 살벌한 수학 용어를 이런 곳에서 쓰다니-이라고 볼 때 현재를 아름답게 살고 계신 그 분의 미래는 세월이 많이 남아 있는가와는 상관없이 분명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캐나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다 힘들다고 한다.
잠시 잠깐 시간 여행을 통해서 어린 시절을 다녀오곤 하는 이유는 지금이 많이 힘들어서 일 것이다.
숨을 쉴만한 여유가 없기도 하겠지만 마음이 어수선하면 즐거웠던 과거가 생각나는 것이다.
시간 여행은 그런것이다.
지금 숨 쉴 공간과 시간이 부족할 때 잠시 떠나오고 나면 다시 숨을 쉴 수 있는 그런 상태가 되는 것.
공간 여행보다 시간 여행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오히려 시간에 쫒기며 살아서일까?
아니면 이런 저런 생각으로 꽉 찬 머리에 숨을 쉴 공간을 주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일까?
또는 떠나기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그 장점때문일지도 모른다.
목적지는 불분명하다.
아니 왔다 갔다 한다.
코흘리개 다마 선수로 활약하던 때일 수도 있고 만원들고 2주일간 제주도를 돌아다니던 황당했던 젊은 날일 수도 있다.
다시 현재로 돌아 왔다.
지금 캘거리의 시간은?
10시가 되어도 아직 훤한 밖을 바라보며 내일을 위한 시간 여행을 준비해야 겠다.
(이 글을 쓸 때가 7월달이었기 때문이다)
잘 자란 얘기다.
'가제트 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제트의 캘거리 短想(9) : 캘거리 유씨 (0) | 2009.09.15 |
---|---|
가제트의 캘거리 短想(8) :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0) | 2009.09.08 |
가제트의 캘거리 短想(4) : 길 (0) | 2009.07.02 |
가제트의 캘거리 短想(3) :알버타 춘계 대 회전(春季 大 會戰) 종군 수첩 (0) | 2009.07.02 |
땅따먹기 (0) | 2009.06.29 |